본문 바로가기
교육

역사에서배우는 한반도 평화통일, 문제 답안 정답

by seani 2023. 5. 7.
반응형

안녕하세요. 셔니입니다.

 

국립통일교육원 교육센터

 

과목소개

<차시 구성>

(1) 퀴즈

(2) 토론

(3) 상호평가

 

평가방법

시험 : 100 %

이수기준 : 60 점 이상

 

학습인정시간

4시간


1. 조선이 자주적 근대화 실패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당시 주요 학문이었던 유교와 성리학이 불교 도교 등에 비해 현실제도실용에 대한 고려가 낮은편으로 근대화 추진에 걸림돌이 되었다.

 

2. 동학농민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동학농민운동은 봉기는 일본을 비롯한 외세의 국권침탈을 막는 역할을 했다.

 

3. 독립협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당시 독립협회는 자발적 근대화 움직임을 나타낸 선구적 단체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일본의 근대화 담론에 휘말렸다는 비단도 받고 있다.

 

4. 구한말 한반도 주변 외세의 움직임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본내에는 군국주의 제국주의를 주장하는 사람들만 있었다.

 

5. 현재는 구한말의 상황을 비교한 것으로 틀린 것은?

오늘날 미국이 중국 러시아 등에 대항하기 위해 지정학적으로 한반도를 중시하는것과같이, 구한말에도 미국이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저지하기 위해 한반도를 이용하였다.

 

6. 구한말 조선의 외교 노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고종의 균형외교는 1910년 한일합병이 되기전까지는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청나라와 러시아가 섣불리 침략하지 못 하였다.

 

7. 구한말 한반도가 동양의 발칸 반도가 된 이유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발칸 반도처럼 주변국가를 차지하려고 다투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8. 고종이 추진한 개화정책의 실패 원인이 아닌 것은?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러시아에 적극적인 친교정책을 펼침으로써 청과 일본의 강한 반발을 초래했다.

 

9. 조선말기 상황이 현재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국가지도자의 강건한 리더쉽과 서로의 대책에 대한 존중하며 대화하고 합의해 나가는 국민적 단합이 필요하다.

 

10. 오늘날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남남갈등으로 틀린 것은?

▶남남갈등은 모두가 터놓고 의논하지 못하는 정도의 갈등으로 아직까지 소득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