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EU 경제통합, 문제 답안 정답

by seani 2023. 5.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셔니입니다.

 

국립통일교육원 교육센터

 

과목소개

유럽연합 과정은 다양한 통합의 위기와 이를 극복하는 과정이었습니다.

 

이 과목에서는 유럽 대륙의 영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유럽국가들이 추진한 통합의 노력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남북 경제통합에 걸림돌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알아봅시다.

 

<세부 차시 구성>

(1) 유럽 경제통합 배경·과정

(2) EU의 경제 통합 정책의 성과 및 한계

(3) 유럽 경제통합과 남북 경제통합에의 시사점 

 

평가방법

시험 : 100 %

이수기준 : 60 점 이상

 

학습인정시간

3시간


1.유럽단일시장 완성에 전환점이 되었던 사건으로 특별한 사안을 제외하고 자국과 상이한 다른 회원국의 기술규정을 적용한 상품의 자국 시장 진입을 허용해야한다는 상호 인정원칙이 확립된 사건은?

▶암스테르담 조약 발효

 

2. 유럽 정체성 확립을 위한 eu의 교육 정책중 소크라테스 프로그램에 해당하징 않은 것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프로그램

 

3. 유로화 채택의 이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회원국의 재정건전성 향상

 

4. 유럽석탄철강공동체가 성공적으로 윤영되어 유럽통합의 출발점이 될수 있었던 이유가 아닌 것은?

독일에 대한 철저한 통제와 감시

 

5. 코로나 19 피해 복구를 위한 유럽회복기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국가별지원금액은 경제규모에 따라 결정한다.

 

6. 공동 농업정책의 목표로 옳지 않은 것은?

농산물 수출 활성화

 

7. 1979년 창설된 유럽통화제도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93년 1월1일부터 유럽단일시장 출범시키겠다는 목표의 명분화

 

8. 통합 조약(브뤼샐조약)에 다라 3개의 공동체는 하나의 유럽공동체로 통합되었습니다. 이 3개의 공동체에 해당하지 않은 공동체는?

유럽이사회

 

9. 공동체내에서 상품 서비스 인력 및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무역 장벽을 철폐하여 1993년 1.1일부터 유럽단일시장을 출범시키겠다는 목표를 명문화한 문서는?

단일유럽의 정서

 

10. 리스본 조약의 발효를 통해 변화된 내용이 아닌 것은?

eu 3주 체제의 강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