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셔니입니다.
국립통일교육원 교육센터
과목소개
유럽연합 과정은 다양한 통합의 위기와 이를 극복하는 과정이었습니다.
이 과목에서는 유럽 대륙의 영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유럽국가들이 추진한 통합의 노력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남북 경제통합에 걸림돌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알아봅시다.
<세부 차시 구성>
(1) 유럽 경제통합 배경·과정
(2) EU의 경제 통합 정책의 성과 및 한계
(3) 유럽 경제통합과 남북 경제통합에의 시사점
평가방법
시험 : 100 %
이수기준 : 60 점 이상
학습인정시간
3시간
1.유럽단일시장 완성에 전환점이 되었던 사건으로 특별한 사안을 제외하고 자국과 상이한 다른 회원국의 기술규정을 적용한 상품의 자국 시장 진입을 허용해야한다는 상호 인정원칙이 확립된 사건은?
▶암스테르담 조약 발효
2. 유럽 정체성 확립을 위한 eu의 교육 정책중 소크라테스 프로그램에 해당하징 않은 것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프로그램
3. 유로화 채택의 이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회원국의 재정건전성 향상
4. 유럽석탄철강공동체가 성공적으로 윤영되어 유럽통합의 출발점이 될수 있었던 이유가 아닌 것은?
▶독일에 대한 철저한 통제와 감시
5. 코로나 19 피해 복구를 위한 유럽회복기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국가별지원금액은 경제규모에 따라 결정한다.
6. 공동 농업정책의 목표로 옳지 않은 것은?
▶농산물 수출 활성화
7. 1979년 창설된 유럽통화제도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93년 1월1일부터 유럽단일시장 출범시키겠다는 목표의 명분화
8. 통합 조약(브뤼샐조약)에 다라 3개의 공동체는 하나의 유럽공동체로 통합되었습니다. 이 3개의 공동체에 해당하지 않은 공동체는?
▶유럽이사회
9. 공동체내에서 상품 서비스 인력 및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무역 장벽을 철폐하여 1993년 1.1일부터 유럽단일시장을 출범시키겠다는 목표를 명문화한 문서는?
▶단일유럽의 정서
10. 리스본 조약의 발효를 통해 변화된 내용이 아닌 것은?
▶eu 3주 체제의 강화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심리학을 접목한 사회통합 : 갈라진 마음들,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23 |
---|---|
국제정세와 한반도 통일환경,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11 |
미리 써본 북한 여행 기획서,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09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제질서의 변화와 한반도 정세,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08 |
역사에서배우는 한반도 평화통일,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