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셔니입니다.
국립통일교육원 교육센터
과목소개
식의주는 우리의 의식주를 일컫는 북한의 경제학 용어입니다. 먹는 문제를 우선한 북한의 의지를 반영한 것인데요.
이 과목을 통하여 북한의 시장과 식의주 생활에 대해 학습해봅시다.
2~4차시는 북한이탈주민과의 대담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제 북한의 식의주 생활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세부 차시 구성>
(1) 북한 시장의 경제·사회적 기능
(2) 시장을 통해 본 북한 주민 식(食)생활
(3) 시장을 통해 본 북한 주민 의(衣)생활
(4) 시장을 통해 본 북한 주민 주(住)생활
(5) 북한 시장의 향후 변화 전망
평가방법
시험 : 100 %
이수기준 : 60 점 이상
학습인정시간
5시간
1.북한 시장의 향후 변화 전망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공장기업소의 소유권개혁추진
2. 북한의 지역별 소비재 시장 도입 정책이 추진된 시기로 적합한 것은?
▶김정일 시기 종합시장 도입
3. 북한경제의 시장운영의 문제점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투자견인 생산성 보장
4.. 다음 중 북한 주민이 국가로부터 주택을 공급받은 이후 사용할 권리를 허용받은 증서는 무엇인가?
▶살림집리용허가증
5. 북한의 주택매매와 관련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경제난 이후 주택암거래 중개인으로 집데꼬가 등장하였다.
6. 북한의 주택유형 및 주택 공급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주택 수요를 충족할수 있을정도의 공급이 보장되고 있다.
7. 북한 주민이 선호하는 의생활 품목에 포홤되지 않은 것은?
▶남성 한복(조선옷)
8. 시장을 통해 북한 주민의생활 자립 현황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시장에서 재질이 좋은 교복 군복등의 공식복장을 구입할 수 있다.
9. 북한의 의생활변천과정 설명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사회주의 생활양식을 준수한다.
10. 다음 중 북한의 식량가격과 연관이 없는 것은?
▶평균가격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떠나는 금강산 여행,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29 |
---|---|
남남갈등을 넘어 사회통합으로,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28 |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평화통일,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26 |
사회심리학을 접목한 사회통합 : 갈라진 마음들,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23 |
국제정세와 한반도 통일환경, 문제 답안 정답 (0) | 2023.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