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그림으로 떠나는 금강산 여행, 문제 답안 정답

by seani 2023. 5.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셔니입니다.

 

국립통일교육원 교육센터

 

과목소개

금강산에 가기 어려웠던 선조들은 그림을 보며 누워서 유람하는 '와유(臥遊)'라는 방식을 생각해냈습니다.

이 과목을 통해 선조들처럼 그림을 통해 금강산을 유람하며 금강산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세부 차시 구성>

(1) 누워서 유람하는 외금강

(2) 누워서 유람하는 내금강 

(3) 누워서 유람하는 해금강

 

평가방법

시험 : 100 %

이수기준 : 60 점 이상

 

학습인정시간

3시간


1.다음 그림에 대한설명으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가 고성-삼일포, 나 통천-총석정

 

2.다음 중 그림과 그 설명이 바르지 않은 것은?

정수영은 비로봉에서 내려본 금강산 전경의 감흥을 1인칭 파노라마로 담아냈다.

 

3. 다음 중 그림과 그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구룡연 구역의 구룡폭포로 유점사 53불에서 쫓겨난 9마리 용이 숨어들었다는 전설이 있다.

 

4.금강산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전통적으로 선조들은 외금강에서 유람을 시작했다.

 

5.해금강명소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만폭동

 

6.내금강의 명소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구룡연

 

7. 외금강의 명소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명경대

 

8.통일전망대 인근 휴전선 부근의 해금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감호는 보로국왕이 금강산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해적선을 보냈다는 전설이 서려있다.

 

9.해금강의 호수와 명에 관련된 전설로 바르지 않은 것은?

현종암은 신라의 사선 중한명인 화랑현종이 놀고 갔다는 전설이 있다.

 

10. 내금강의 명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만폭동과 보덕암은 금강산의 대표적 전망대다.


반응형

댓글